목록분류 전체보기 (66)
switch

터미널에서 nest --help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설명이나옴 만약 새 모듈을 만들고싶다면? "nest generate module 모듈명" 이런식으로 입력하면된다 "nest g mo 모듈명" 이렇게도 만들수있음 위 표를 참고하면 여러가지 만들수있다. (resource가 특이하던데.. 만들면 CRUD를 자동생성해준다) 예를들면 컨트롤러는 "nest g co [name]" 이런식으로 만들면됨

1. 빈 폴더를 생성하고 vs코드로 폴더를 열어줌 2. degit을 사용하기위해 전역설치를해줌 터미널에 npm i -g degit 3.template을 현재경로( . )에 받아줌 그러면 폴더에 이렇게생김 4. 노드모듈을 설치하기위해 npm install node_modeules이 생성된것을 확인가능함 5.실행해보기 이렇게 뜨면 잘 되는것 localhost:8000으로 접속해보자

파이참이나 vscode를 켜기 귀찮을때.. 알고리즘 문제를 간단하게 풀어보고싶을때 사용하기 좋은 사이트이다 웹상에서 구동되고 파이썬뿐만아니라 다른 언어도 지원한다 모바일로도 사용가능해서 (불편하긴하지만) 어디서나 코딩할수있는 장점이있다. https://replit.com/languages/python3 Python Online Compiler & Interpreter Write and run Python code using our Python online compiler & interpreter. You can build, share, and host applications right from your browser! replit.com 문법오류같은건 따로 안잡아줘서 조금 불편하긴함..
미들웨어는 요청을 각 컨트롤러의 요청 핸들러가 처리하기 이전에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 미들웨어 함수는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응답 주기에서 요청(request) 및 응답(response) 객체에 접근할 수 있음 pipes - 파이프는 요청 유효성 검사 및 페이로드 변환을 위해 만들어진다 데이털르 예상한대로 직렬화한다 filters - 필터는 오류처리 미들웨어이다 특정 오류 처리기를 사용할 경로와 각 경로 주변의 복잡성을 관리하는 방법을 알수있음 guards - 가드는 인증 미들웨어이다 지정된 경로로 통과할수있는 사람과 허용되지 않는 사람을 서버에 알려준다 interceptors - 인터셉터는 응답 매핑 및 캐시관리와 함께 요청로깅과 같은 전후 미들웨어이다 각 요청 전후에 이를 실행하는 기능은 매우유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