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front-end/svelte (3)
switch
css에서 단위는 중요하다 절대단위와 상대단위로 나뉘는데, 이걸 정리해보고 실제로 적용해보자 !! CSS의 단위 절대단위: px, pt 등 상대단위: em, rem, ch ,vm, vh 등 환경에 영향을 받지않는 고정적인 크기로 정하는경우 px을 보통 사용하고 일반적으로는 상대단위인 rem을 많이 사용한다 보통 반응형 웹을 만들때 디바이스 크기별로 css를 달리 적용해야하며, 디바이스 크기를 나누는 기준은 보통 px로 정한다. vm은 viewport width vh는 viewport height 를 뜻하는데, 화면의 너비나 높이에따른 상대적인 크기를 적용해준다. 스크롤하면 화면을 가득채우며 딱 맞게 떨어지는 사이트들이 100vm 100vh를 사용해서 구현한것이다!! 이걸 이용해서 간단한 페이지를 만들어볼..

1. 빈 폴더를 생성하고 vs코드로 폴더를 열어줌 2. degit을 사용하기위해 전역설치를해줌 터미널에 npm i -g degit 3.template을 현재경로( . )에 받아줌 그러면 폴더에 이렇게생김 4. 노드모듈을 설치하기위해 npm install node_modeules이 생성된것을 확인가능함 5.실행해보기 이렇게 뜨면 잘 되는것 localhost:8000으로 접속해보자
스벨트로 todo앱을 만들고있는데 어느순간 npm run dev를 해도 수정사항이 적용되지않음.. 빠른 결론 : 브라우저 캐시를 지워봤더니 잘됨...!! 과정이 많았지만 이 현상은 브라우저 캐시때문이였던것으로 보임 ===================================== npm run dev를 해도 수정사항이 적용되지않고 다른 스벨트프로젝트를 켜봐도 localhost:8080에 아까 작업하던 프로젝트가 뜸 ㄷㄷ npm 캐시 문제인가 싶어서 npm cache clean --force와 npm cache verify를 해봤지만 npm캐시문제는 아니였음 혹시 vscode의 파워쉘 문제인가 싶어서 파워셀 권한설정 다시하고 컴퓨터도 껐다가 켜봤지만 역시 해결되지않음 노드모듈을 삭제하고 다시 npm i ..